구급대원은 병원전 단계인 현장에서 외상환자의 중증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분류한 후에 근거리의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외상의 중증도에 근거하여 적정 수준의 의료기관 선정하여 이송해야 한다.
물리적 손상을 입은 모든 환자중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를 다발성 또는 중증외상환자로 분류한다.
1.중증외상의 기준
- 생리학적 기준
- avpu 의식수준 v이하 또는 GCS </= 13
- 수축기혈압 < 90 mmhg
- 분당 호흡 수 <10 혹은 >29 - 신체검사 소견에 따른 기준
-관통 또는 자상(머리,목,가슴,배,상완부,대퇴부)
-동요가슴(flail chest)
-두개 이상의 근위부 긴뼈 골절
-압궤(crushed),벗겨진(deloved).썰린(mangled) 사지
-손목,발목 상부의 절단
-골반 뼈 골절
-열린 또는 함몰 두개골 골절
-마비 - 손상기전에 따른 기준
- 추락
성인 : 6m 이상(건물 3층 높이 이상)
소아 : 3m 이상(건물 2층 높이 이상)
-고위험 교통사고
차체눌림(찌그러짐) :30cm 이상
자동차에서 이탈(튕겨져 나감)
동승자의 사망
차량전복: 자동차-보행자/자전거 충돌로 나가떨어짐,치임 또는 시속 30km 이상의 속도로 충돌함
오토바이 시속 30km 이상의 속도, 폭발에 의한 직접적 영향 - 중증외상센터로의 이송을 심각하게 고려해 볼 수 있는 환자의 의학적 질병상태 및 특수상황 - 이분류에 해당될 경우 이송병원 선정은 직접 의료지도를 요청하여 지도에 따른다.
-위험한 나이: 성인 55세 이상, 소아 15세 이하
-항응고질환,출혈성 질환
-화상과 외상이 동반된 경우
-투석이 필요한 말기신장질환
-시간 지연에 민감한 사지손상
-임신20주이상
-구급대원의 판단
2. 환자평가 필수항목
- 병력청취
- 환자의 나이, 의학적 질병상태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 손상기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신속한 외상초기평가
-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손상유무의 확인과 처치를 위해서 신속한 외상초기평가를 시행한다.
-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와 증상을 평가한다.
- 환자의 의식 상태와 동공반사,사지운동등을 평가한다.
- 전신의 손상부위를 확인한다.
>처치와 함께 이송 중 활력징후,산소포화도,의식 등의 평가를 5분마다 반복한다.
3.응급처치 절차 및 방법
- 환자초기 평가/처치 표준지침에 따라 전반적인 평가 및 처치를 시행한다.
- 기도를 개방하고, 환자의 의식이 p이하인 경우 입안기두기를 삽입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만일 환자가 구역반사를 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고, 코인두기도기를 삽입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단, 두개골기저부 골절이 의심되는 상황인 경우 코인두기도기를 삽입하지 않고 도수조작(두부후굴제외)만 시행한다. - 외상으로 인한 저산소증 교정을 위해 안면마스크 6-10L/min 투여한다.
- 경추고정을 시행한다.
- 생명을 위협하는 외부출혈이 확인되면,멸균된 소독거즈로 압박하여 지혈한다.
- 환자의 수축기혈압이 90mmhg (소아의 저혈압 기준은 출생 후 ~ 1개월 : <60mmhg , 1-12개월 : <70mmhg ,
1-10세: <70+(나이X2)mmhg , 10세 이상은 <90mmhg) 미만인 경우 18G 이상의 정맥로를 1개이상 확보하여 소아300ml (소아는 5ml/kg) 생리식염수나 젖산링거액을 투여하고 혈압/맥박수/의식등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지 확인한다.쇼크가 지속될 경우 1L(소아는 10ml)까지 수액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 산소포화도,심전도를 포함해서 지속적으로 활력징후를 감시한다.
- 평가 및 처치,이송 중 저체온에 빠지지 않도록 유도한다.
- 적응증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부위 척추고정을 하고 이송을 준비한다.
- 이송중 처치에 대한 의료지도를 받고 이송할 의료기관에 환자상태를 알린다.
4.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 중증손상환자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현장에서 처치시간은 최대 10분미만으로 최소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환자평가 과정으로 인하여 이송이 지연되어서는 안된다.
- 환자의 모든 자세 변환은 통나무굴리기를 실시한다.
- 손상부위별 또는 생리학적 이상의 처치는 각각의 지침을 따른다.
'ㄴMedical > 공개용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쏘임환자 에피네프린 투여법 (0) | 2021.09.08 |
---|---|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0) | 2021.08.25 |
고온환경질환 관련 (0) | 2021.07.20 |
알러지 및 아나필락시스 (0) | 2021.07.17 |
급성 저혈당 의증 (0) | 2021.07.17 |
ㄴMedical/공개용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