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러지 및 아나필락시스

ㄴMedical/공개용 자료

2021. 7. 17.

 

상기도 인후두에서도 부종이 생긴다 (오른쪽 맨 아래 이미지 참고) 그래서 쉰 목소리등이 들리거나 협착음이 들리며, 또는 환자가 느끼기에 목이 답답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과민반응이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해가 없는 항원에 대하여 부적절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아나필락시스쇼크는 가장 중하며, 갑작스런 반응으로 저혈압,기도폐색 등의 다기관을 포함하는 중증과민반응을 말한다.

아나필락시스쇼크의 주증상 핵심 
   ※ 알러지유발 요인에 노출 후 다음의 증상,징후

1.급성의 의식변화
2.실신 이벤트
3.식은땀, 요골동맥 촉지 안됨
4.요실금/변실금
5.V/S : 저혈압, 빈맥, 빠른 호흡 등

(쇼크, 저산소증의 징후와 증상들이 초 응급인 상황이다.)

ex) 벌에 쏘였어요 말 잘하고 걸어다닌 경우(의식정상, v/s stable시)-> 모니터링 대상이다. stable 해도 혈관부종 및 두드러기 호흡곤란이면 에피네프린 투여 적응증이다.

insect venom
,각 약물 주사 등이 더 빠르게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한다. -> 굉장히 빠르게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진행되며, 이런 경우 얼굴 혈관 부종은 없거나 안면홍조만 발생 -> 노출 후 즉시 또는 몇 분이내 급성증상이 나타나고 주로 호흡기계보다는 순환기계 허탈을 유발한다.

순환기계 허탈이 바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얼굴 혈관 부종하고 두드러기 이런 증상을 보임 -> 알러지 유발요인이 피부나, 혹은 호흡기계, 위장관으로 흡수되는 경우로 상대적으로 느리게 흡수되는 경우이다.

알러지유발 음식 섭취의 경우는 

구강하고 인후두 점막을 지나쳤기 때문에 그 부분 점막들이 혈관부종을 발생시킨다.-> 얼굴,혀+인후두=상기도(upper airway)에 혈관 부종이 발생해서 쉰 목소리 호흡곤란, 협착음 등이 발생한다. -> 또한, 소화기계로 넘어갔기 때문에 -> 소화기계 증상도 발생한다.



♥ 핵심은, 아나필락시스 응급환자를 볼 때, 교과서대로 얼굴에 혈관 부종이 반드시 보이지 않으므로,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는 의식변화, 식은땀,요실금,변실금과 같은 저산소증과 쇼크의 징후 증상들을 먼저 캐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1.임상적특징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많은 것은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설파제 등 주사약물이며 아나필락시스반응은 항원에 노출된 후 수초에서 수시간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30분이내 발생한다.

 

  • 경증 알러지반응 : 가려움증, 두드러기, 오심 등(호흡곤란,저혈압 등은 없음)
  • 중증 알러지반응 : (맥관부종,아나필락시스) : 협착음,천명,심한복통,호흡곤란,빈맥(빠른맥),쇼크,입술,혀,얼굴의 부종

 

2.환자평가 필수항목

 

병력청취

-원인 약물이나 항원유발원 노출력

-이전에 아나필락시스 발병력 또는 아토피/천식 과거력

-침넘김이나, 호흡에 어려움 호소 등 확인

-보호자가 없는 무의식 환자의 경우 가능한 한 알러지와 관련된 표식(팔찌,목걸이,각종 신분증 등)을 확인한다.

 

이학적검진 : 질환의 중증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환자의 활력징후와 심전도,산소포화도 감시를 시행하여 빈맥(빠른맥),저혈압,쇼크 유무를 확인

-두드러기 피부부종의 위치 및 범위

-경부 및 양측 폐야 청진을 하여 협착음,천명음 유무를 확인

 


3.응급처치 절차 및 방법(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치료지침)

 

  • 아나필락시스 반응 시 -> 환자가 알고 있는 알러지 원인을 제거하고, 기도를 유지하고 산소를 투여한다.

※ 산소포호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기관삽관,후두마스크등을 이용하여 전문기도유지술을 시행한다.(가능한 구급차 이송이 시작되기전 시행)

 

  • 환자의 혈압이 낮은 경우(수축기 혈압이 90mmhg보다 낮을 경우) -> 다리를 올려주고 정맥로를 확보하여 300ml(소아는 5ml/kg)의 생리식염수나, 젖산 링거액을 투여하며 혈압,맥박수,의식등이 정상범위로 회복되는지 확인한다.
  • 쇼크가 지속되는 경우 1L(소아는 10ml/kg)까지 수액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4.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흡기시, 그렁거리는 호흡음이 있고, 입술이 심하게 부어있는 경우, 상기도 부종으로 기도폐쇄가 임박했음을 의미하므로, 기도유지를 위하여 조기에 전문기도유지술을 시행한다.

 

5.직접의료지도 요청기준

 

>환자 생체징후가 불안정하여 정맥로 확보 및 수액투여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호흡보조에도 저산소증이 지속되어, 전문기도유지술 시행이 필요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