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졸증은 크게 허혈성뇌졸중과 출혈성뇌졸중인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 >> 뇌혈전증, 뇌색전증,열공성뇌졸중,일과성 뇌허혈발작 등으로 나뉘고 출혈성 뇌졸중은 >> 뇌실질내출혈, 지주막하출혈,경막하출혈 등이다. |
뇌졸중의 위험인자 |
고혈압,당뇨병,심장병,뇌혈관 질환의 과거력,고지혈증,흡연,운동부족,혈액점도증가 등 피임약복용,편두통,단백질C,S의 결핍,고섬유원소증,고뇨산혈증,빈혈,심내막감염 |
>> 뇌졸중의 일반적인 증상은?
-주된 증상: 두통,어지러움,편마비,의식장애,언어장애,보행장애,의식장애등이며, 심한경우에는 혼수,호흡정지 또는 심정지에 이르기도 한다.
-일과성허혈발작은 일시적인 국소 허혈에 의해 발생하며, 가역적이고 일시적이나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 뇌경색의 선행증상이 될 수 있다.
-뇌경색은 이전에 일과성 허혈증상을 경험한 경우에서 50%이상이며, 갑자기 발생하기도 하고 수 시간 또는 수일에 걸쳐서 진행되기도 한다.
-뇌출혈은 활동 시간이나, 결렬한 운동, 심리적 격앙 또는 식사 도중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부위와 출혈량에 따라 의식장애 정도가 다양하고 심한경우는 뇌간 탈출에 의해 사망할 수 있다.
환자평가 필수항목
1.병력청취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본인에게 묻고, 의식이 혼수한 경우에는 주변인에게 묻는다.
증상이 발생한 시간과, 증상을 발견한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발병 시간의 결정은 환자 증상이 전혀 없었던, 마지막으로
정상이였던 시간과(LNT,Last normal time) 최초로 이상 소견을 발견한 시간(FAT,First abnormal time)을 확인하여 기
록한다.
2.뇌졸중의 첫 증상과 증상의 변동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3.동반되는 두통, 구토 및 최근 두부 외상의 기왕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4.기존의 일과성 허혈발작이나 경련과 같은 신경학적 상태 또는 뇌종양과 심근경색,협심증,부정맥,심계항진 및 울혈성 심부전과 같은 심장질환,그리고 당뇨병,고지혈증 등의 병력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이학적검진
의식이 있는 환자 | 의식이 없는 환자 |
혈압수와 호흡수를 측정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 혈당 측정 의식수준 : AVPU 법을 통해 사정 선별검사:다음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라도 해당되는 경우를 양성판정한다. -얼굴을 찡그리게 하여 양쪽이 동일한지 확인한다. 또는"이~해보세요" 한다음에 양쪽 표정을 관찰한다. -양팔을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어깨높이로 들고 양쪽 팔의 높이가 동일한지 확인. -이름과 나이를 물어보는 질문에 답변이 어눌하거나 적절치 않는지 확인한다. -심전도 측정 및 감지 |
혈압,호흡 수,맥박 수 측정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 체온측정 혈당 측정 의식수준: AVPU 법 활용하여 사정 동공반응 확인 - 중앙에 위치하고 고정된 경우는 중뇌이상 - 일측 동공이 산대되고, 고정되면 동안신경(눈돌림신경)이상 - 양측 동공이 축동(동공수축)되어 있으나 대광반사 가 있는 경우 간뇌나 교뇌병소 통증자극을 이용한 운동반응 -안면부 일측에 통증을 줄 때 비대칭적으로 얼굴을 찡그리거나 환자의 하지가 외전되면 동측의 운동력 약화되었음을 의미 -목적이 있는 움직임인가? 일측만 주로 사용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자발적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 -심부건반사, 바빈스키반사 등의 반사등의 병적 방사를 조사 -심전도 감시 |
응급처치법 및 주의사항
의식이 있는 환자 | 의식이 없는 환자 |
- 의식이 A,V이고 말초 산소포화도가 94%이하인 경우에는, 비강케뉼라로 1-5L/min 산소를 투여하거나 또는 안면마스크로 6-10L/min 산소를 투여한다. 이후 교정되지 않으면 비재호흡마스크를 통하여 10-15L/min의 산소를 투여한다. -즉시 혈당을 측정하여 70미만 인 경우에는 정맥로를 확보하고 50% DW (10세미만 : 10%포도당 2ml/kg) 투여한다. -병원 전 뇌졸중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양성인 경우 이송 병원에 즉시 사전연락을 한다. -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
-환자를 편평한 곳에 반듯하게 눕혀 안정을 취하게 한다.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흡인을 방지하게 하기 위해서(뇌압상승방지를 위해) 상체를 15-20도를 올린 변형 트렌델렌버그 자세: 머리를 내리지 않은 하지거상 자세를 취해준다. -구역반사가 소실된 경우, 입인두기를 통해 기도를 확보한다. -말초산소포화도가 94%이하인 경우 : 백밸브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를 통하여 11-15L/min 산소를 투여하고 필요한경우 양압환기를 실시한다. -즉시 혈당을 측정하여 70미만 인 경우에는 정맥로를 확 보하고 50% DW (10세미만 : 10%포도당 2ml/kg) 투여한다.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
주의사항 | 주의사항 |
-병원 전 뇌졸중 선별검사를 정확히 실시한다. -최초로 이상소견을 발견한 시간이 6시간 이내이면 즉시 뇌졸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하며 현장에서 10분 이상 지체를 하지 않는다. -병원전 단계에서 뇌졸중 의심환자에게 혈압조절을 위한 특별한 조치는 하지 않는다. -저혈당이 발견되어, 포도당액을 주입할 필요가 없는 환자를 제외 하고 특별히 정맥로 확보를 하지 않는다. -구토,흡인과 같은 기도유지 문제가 생긴경우, 좌측위를 실시한 다. |
-환자의 경구로 어떤것도 공급하지 않는다. -신경학적 평가 과정으로 이송을 지연시키지 않는다. -지주막하출혈에서 치명적인 부정맥 가능성이 있으므로 심전도 감시를 한다. |
직접의료지도 요청기준 |
- 환자 생체징후가 불안정하여 정맥로 확보 및 수액투여가 필요한 경우 - 저혈당으로 인한 의식저하에서 포도당 투여가 필요한 경우 - 의식이 없고 환기가 부적절한 환자에서 1시간 이상의 이송시간이 예상되는 경우 - 부정맥이나 저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증상에 의한 의식저하가 의심되는 경우 |
>> 이송병원 선정기준
병원전 뇌졸중 선별검사가 양성인 경우에는 즉각적인 혈전용해제치료가 가능한 지역응급의료기관 이상의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며, 필요한 경우 119구급상황센터에 관련 병원정보를 요청가능하다.
'ㄴMedical > 공개용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정지(비외상성) 처치방법 (0) | 2021.07.11 |
---|---|
ECG 12 LEADS and 기초용어 (ecg 읽는 법등 각 파에 대한 기초설명) (5) | 2021.07.11 |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CG Change(급성심근경색) 설명 (1) | 2021.07.10 |
신경계 사정(pupil size/뇌신경검사/glasgow척도,의식수준5단계 등) (0) | 2021.07.08 |
Syncope(실신) (1) | 2021.07.06 |
ㄴMedical/공개용 자료